경제

주식 기초 용어 정리

드니부부 2023. 1. 5. 02:22
728x90
반응형

 

    출처 : 유튜브 - 권인구 경제연구소

 

  • 주식이란? 회사를 구성하는 단위. 피자 조각. 주식을 가진 사람 = 회사의 주인, 권리를 갖게 됨. 주식 50%이상 소유하면 경영권을 얻게 됨. 가진 주식이 적어질 수록 경영권이 위험해짐.
  • 주식회사? 피자 한 판
  • 배당?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이윤을 분배하는 것. 배당 ^ - 주가 ^ 
  • 배당수익률 = 배당금 / 주가
  • 채권 ? 정부, 주식회사, 공공단체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비교적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차용증서. 국채/회사채, 원금/이자의 개념
  •  펀드?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모아 이를 대신 관리해주고, 수익을 다시 투자자들에게 나누어주는 방식의 금융상품. 어떤 주식을 담을 지 결정하는 사람이 펀드매니저. 분산투자이므로 안정적. 다만 운용수수료가 1%씩 나감. 즉 1% 이상의 수익을 내야 이득. 
  • 공모펀드? 50인 이상. 은행, 증권사 등에서 가입할 수 있는 대부분의 펀드. 공개 모집이므로 투자종목, 비율 등을 모두 공개하고 투자자 수에 제한이 없음.
  • 사모펀드? 49인 이하. 비공개 모집.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과 비율로 투자할 수 있음. 자산 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자본참여를 하게 하여 기업가치를 높인 다음 기업 주식을 되파는 전략.
  • 적립식? 매월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는 방식. 적금과 비슷.
  • 거치식? 투자금액을 한꺼번에 납입해두는 방식. 예금과 비슷.
  • 주식형? 대부분의 상품이 주식으로 되어 있는 형태. 운용 상품의 60%이상이 주식으로 구성.
  • 채권형? 운용 상품의 60%이상이 채권으로 되어 있음. 정해진 기간이 종료되는 만기가 있는 상품.
  • 혼합형? 주식+채권. 주식형보다 안전하지만 수익은 낮고, 채권형보다 위험하지만 수익은 많은 편. 수익과 안정성 모두를 중요시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만들어짐. 주식의 비중이 많다면 주식혼합형, 채권의 비중이 많다면 채권혼합형으로 분류. 
  • 재간접형? 주식이나 채권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펀드를 통해 투자하는 것. 해외 자산의 경우 직접 투자가 힘들기 때문에 해외 운용사의 펀드를 통해 투자하는 것. 펀드 오브 펀드.
  • 인덱스 펀드? 주식형 펀드. 특정 지수와 비슷하게 따라가도록 종목을 구성해서 만든 펀드. 미국 지수 : S&P 500(미국 standard & poor사에서 선정한 500개 기업을 바탕으로 발표하는 주가지수), 나스닥 100, 다우지수. S&P500인덱스펀드는 미국의 S&P500 지수와 비슷하게 따라가도록 종목들을 구성해서 만든 펀드. 인덱스 펀드는 지수 자체를 추종하기 때문에 만약 미국 지수에 투자한다면, 미국이라는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이 펀드가 망할 일은 없다고 보면 됨. 국가 지수 특성상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여 큰 수익을 가져다주기는 힘듬. 하지만 장기 투자 한다면 꾸준한 수익을 가져다줄 투자처. 
  • 펀드 상품명 : 운용사 - 투자 지역/종목/전략 - 자산 종류 - 모자구분 - 법적 성격 - 호수 - 주운용자산 - 비용 (ex. 삼성코리아대표증권자투자신탁제1호(주식)A-e)
  • 삼성 : 해당 펀드를 관리하는 운용사 이름 
  • 코리아대표 : 투자 지역이 한국이고, 대표 상품에 투자한다는 의미 
  • 증권 : 자산의 종류는 증권(주식, 채권), 부동산, 특별자산, 혼합자산, 단기금융 중 증권에 투자한다는 의미
  • 자 : 모자형구조를 가진 펀드의 경우 자에 해당하는 펀드라는 의미, 자펀드를 통해 자금을 모아 모펀드로 통합하는 구조
  • 투자신탁 : 법적성격에는 투자신탁, 투자회사등이 있는데 펀드의 법적 형태가 투자신탁형이라는 의미
  • 제1호: 시리즈형 펀드일 경우 호수를 표시, 호수가 높으면 해당 펀드의 실적이 좋아 후속 펀드가 계속 출시되었다는 것을 의미, 그냥 숫자만 표시하는 경우도 있음. 
  • (주식) : 주운용자산에는 주식, 채권, 주식혼합, 채권혼합, 재간접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주식이 주된 운용 자산이라는 의미 
  • A-e : 판매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. 주로 A/C/S가 있음. 뒤에 붙는 e는 인터넷 전용 상품을 의미. 펀드 가입 기간동안 계속 발생하는 보수와는 달리 수수료는 한번만 부과가 됨. 
  • A 클래스 펀드 : 펀드 가입 시에 선불로 지불. 선취 수수료. 약 1% 내외. 대신 펀드를 환매(매도)할 때 내는 수수료는 저렴한 편. 
  • C 클래스 펀드 : 선취 수수료는 없으나 환매 수수료는 높음.
  • S 클래스 펀드 : FOSS 증권 전용 클래스. 후취(후불) 수수료 방식. 가입 기간에 따라 수수료율이 달라지며, 장기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 기간이 3년 이상일 경우 수수료를 면제해 줌. 

 

728x90
반응형